'그린 스마트 스쿨' 현장서 "방역 중대한 고비" 우려
"한국판 뉴딜 핵심 가치는 상생…교육으로 체감하길"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조속한 전면 등교가 우리의 목표였는데 지역이나 상황에 따라서는 그 목표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창덕여자중학교에서 열린 '그린 스마트 스쿨' 관련 시도교육감 화상 간담회에서 "수도권 지역에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여 우리 방역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대한 고비를 맞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학교 현장에서 다시 한 번 긴장의 끈을 다잡아 주셔야 하겠다. 2학기를 맞아 준비와 점검을 철저히 해 주시기 바란다"며 "정부도 최선을 다해 학교 현장의 노력을 뒷받침하고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정부의 포스트 코로나 구상인 '한국판 뉴딜'이 가장 먼저 적용돼야 할 현장 중 하나가 학교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이자 우리 사회의 미래다. 대한민국의 대전환도 학교에서 시작된다"며 "코로나를 이기는 힘은 이웃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이며, 한국판 뉴딜 속에 담긴 핵심 가치는 상생의 정신이다. 다른 사람을 먼저 배려하는 것이 결국 나 자신을 위한 일이라는 것을 우리 아이들이 교육 속에서 체감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린 스마트 스쿨은 명실상부 21세기 교실에서 21세기 방식으로 21세기 인재를 배출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며 "그린 스마트 스쿨 자체가 그린 교육과 디지털 교육, 사람 교육의 훌륭한 콘텐츠이고 교재이면서 또 교육 방식이 되도록 함께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일일 학생'으로 변신해 스마트 교육을 체험했다. 수학 시간에는 학습용 소프트웨어 알지오매스를 활용해 함수를 통한 그래프 그리기 기능을 익혔고, 과학 시간에는 디지털교과서와 연계한 실감형 콘텐츠(AR)를 통해 몸 안의 심장 등을 들여다봤다.
문 대통령의 '한국판 뉴딜' 현장 방문은 이번이 세 번째다. 첫 번째는 지난 6월 18일 디지털 뉴딜 현장 행보로 강원도 춘천 더존비즈온을 방문하고, 7월에는 그린 뉴딜 현장 행보로 전북 부안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