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청 신설, 혼란 있을 수 있다는 점 유의해야
공수처 1호 사건, 중립성 의심받지 않는 것으로
초석 마련 중요…무슨 일 있어도 임기 지킬 것"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은 25일 "대통령과 핫라인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김 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포럼 토론회에서 '청와대에서 전화가 오거나 비공개로 티타임 혹은 식사 요청이 오면 응할 것이냐'는 질문에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답했다.
김 처장은 3년 임기를 지키지 못하도록 정치적 외압이 들어올 경우를 묻는 질문엔 "초대 공수처장으로서 제가 임기를 지키지 않으면 제도 안착에 문제가 상당히 생길 것"이라며 "무슨 일이 있어도 임기를 지킬 것"이라고 했다.
김 처장은 '임기 내 가장 큰 목표가 무엇이냐'는 질문엔 "공수처가 새로운 수사기관으로서 자리를 잘 잡도록 인적·물적·제도적 토대를 잘 마련하고 공수처가 잘 운영되도록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공수처 1호 사건'에 대해선 "중립성을 의심받지 않는 사건을 하려고 한다"며 "심의위원회를 둬서 사건 선정에 의견을 들을 생각도 있다"고 했다.
김 처장은 여권이 추진하고 있는 중대범죄수사청 신설에 대해선 "수사와 기소의 분리는 시대의 조류이고 대세"라면서도 "제도가 갑자기 바뀌어버리면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아울러 김 처장은 오는 4월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공수처가 선거에 영향을 미칠만한 수사는 자제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공수처가 선거를 앞두고 선거에 영향을 미칠만한 사건을 하는 등 중립성 논란을 스스로 자초하는 일은 피해야 하지 않겠냐"며 "선거에 수사기관이 개입한다는 상당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고, 수사로 표가 움직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검찰과의 관계에 대해선 "국가의 반부패수사 역량이 잘 배분돼 빈틈없이 행사되기 위해 수사기관의 협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