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열린 G20 재무장관회의 선도발언 통해
국가 간 불평등 해소·재정건전성 확보 강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들을 상대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 간 거시정책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자본유출입 변동성 확대가 실물경제 회복을 저해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당면한 과제에 대한 협력을 당부했다.
홍 부총리는 7일 화상으로 열린 ‘제2차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국제금융체제 워킹그룹 공동의장국 자격으로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저소득국 경우 백신보급 지연 등으로 경제회복이 늦어지고, 유동성 위기 등을 겪고 있다”며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경제회복 조화를 강조했다. 그는 “이번에 G20이 코벡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등을 통해 백신의 조속하고 공평한 보급을 보장하기로 합의한 것을 환영한다”며 “저소득국 채무유예 연장, 6500억 달러 규모 IMF 특별인출권(SDR) 일반배분을 추진해 준 회원국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토대로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이번에도 G20은 선진국과 개도국 간 파급효과와 역파급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때까지 확장적 거시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더불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실물경제 회복을 저해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자본유·출입 변동성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IMF 기관견해 검토를 지지한다”고 했다.
중장기적인 구조개혁 필요성도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G20은 코로나19 대유행 위기 극복을 위한 단기 확정적 거시정책 지속과 함께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한 원칙에 기반한 다자무역체계 복원, 디지털·저탄소 경제 전환 추진, 중장기 재정건전성 확보 노력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에는 G20 회원국과 초청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국제통화기금(IMF)·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세계은행(WB)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했다.
회원국들은 ▲경제회복세 공고화를 위한 거시정책 공조 ▲자본유·출입 변동성 관리 ▲자유무역체제 확립 ▲저소득국 지원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위기극복을 위한 확장적 재정·통화정책 등 정책 공조를 지속하고 기존 확장적 거시정책을 조기 정상화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OECD를 중심으로 논의 중인 디지털세에 대한 합의안이 올해 안에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