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세계 7대 통신사 인터뷰서 회담 성사 의지 부각
"北 원하는 방식으로…선거 결과로 부적절한 상황 될수도"
종전선언 가능성엔 "임기 내는 욕심…여건 넘겨주고 싶어"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임기 내 남북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과 관련해 "정상회담의 선결 조건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원하는 방식으로, 선결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며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연합뉴스와 AFP, AP, EFE, 교도통신, 로이터, 타스, 신화통신 등 세계 7대 통신사가 합동으로 진행한 서면인터뷰에서 '임기 내에 남북 정상회담이 가능한가. 대면이 어렵다면 화상으로 추진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문 대통령은 "대화 의지가 있다면 대면이든 화상이든 방식이 중요하지 않다. 북한이 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면서 "대화에 선결 조건을 내세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 선결 조건 역시 대화의 장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온 선거 시기와 선거의 결과가 남북정상회담을 갖기에 부적절한 상황이 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 가능성에 관해서는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교와 대화를 통한 접근과 함께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다"며 "또한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전략적 인내'로 되돌아간 것이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언제 어디서든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도 꾸준히 강조하면서 실제적인 대북 접촉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자신이 추진해 온 남북미 간 종전선언 가능성에 대해서도 "한미 간에는 북한에 제시할 종전선언의 문안까지 의견일치를 이룬 상태다. 중국도 종전선언을 지지하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 임기 내에 종전선언을 이루겠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지나친 욕심일 수 있지만, 적어도 종전선언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더욱 성숙시켜 다음 정부에 넘겨주고 싶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잇따른 무력 도발에 대해서는 엄중한 시각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만약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가 모라토리엄 선언을 파기하는 데까지 나아간다면 한반도는 순식간에 5년 전의 위기 상황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면서 "끈질긴 대화와 외교를 통해 그 같은 위기를 막는 것이야말로 관련국들의 정치 지도자들이 반드시 함께해내야 할 역할일 것"이라고 말했다.
文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유감…소통 항상 열려 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임기 내 한일관계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것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한일 간에 풀어야 할 현안들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해왔으나, 아직까지 접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서 안타깝게 여긴다"고 밝혔다.
이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피해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이 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역사 앞에 진정성 있는 자세와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이런 관점에서 우리 정부는 어떠한 제안에 대해서도 열려 있으며, 대화로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덧붙엿다.
다만 "유감스러운 일은, 최근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사 문제 해결과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과거사 문제의 진전을 위한 대화 노력과 함께 한일 간에 미래 협력과제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일본 총리와의 소통에 항상 열려 있다는 입장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