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발 집단탈당까지…가속 페달 밟는 윤석열 '호남 서진'
서울에서 더불어민주당 현직 구의원을 비롯한 당원들의 집단탈당이 일어났다. 3·9 대선을 앞두고 울산광역시나 경남 양산 등 영남권에서 민주당원들의 집단탈당 사례는 있었으나 서울에서의 집단탈당은 처음 있는 일이다. 재경 호남 출향민 대선 표심의 향배에 이목이 집중된다.
민주당 소속 이연옥 은평구의원을 비롯한 호남 출신 민주당원들은 10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집단탈당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지지를 선언했다. 이연옥 구의원을 비롯한 당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의 민주당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신은 온데간데 없고 이념에 사로잡힌 운동권 의원들과 극성 당원들이 지배하는 근본 없는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개탄했다.
이들은 선거의 본질은 '심판'이라며, 앞으로 김성태 중앙위의장이 이끄는 직능총괄본부에 들어가 정권교체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입장에서는 호남 출향민 출신 민주당원들의 집단탈당은 천군만마라는 분석이다. 다가오는 주말에도 윤석열 후보는 계속해서 호남 표심에 구애하는 '서진 정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12만원 안쪽으로 두 번"…김혜경 제보자, '법카 쪼개기' 폭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와 그 측근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제기한 제보자 A씨가 이른바 '법인카드 쪼개기 결제' 정황을 추가로 공개했다. 경기도청 법인카드의 일일 사용 한도를 맞추기 위해 편법을 동원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A씨는 이 후보 측근인 전 경기도청 5급 사무관 배모 씨의 지시에 따라 음식점 등에서 본인의 카드로 먼저 결제를 한 뒤 며칠 뒤 취소하고 법인카드로 다시 결제하는 바꿔치기 결제를 했다고 한다. 또한 경기도의 법인카드 1회 비용 한도인 12만원을 초과한 경우, 나눠서 결제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에 대해 강전애 국민의힘 선대본부 상근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공개된 추가 사용처는 이 후보의 수내동 자택 주변 분당에 소재한 맛집들"이라며 "김씨가 '법카 살림살이'를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충격적인 것은 이 식당들에서 쓰인 업무추진비가 총무과, 공정경제과, 노동정책과 등 여러 부서에 나눠져 있다는 사실"이라며 "참으로 졸렬한 수법의 국민 혈세 도둑 부부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약국 6곳 돌았다" "한꺼번에 25개 구입" …자가검사키트 사재기 시작됐다
정부가 고위험군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체계를 바꾼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자가검사키트가 입고되자마자 동이나는 등 품귀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10일 코로나19 확진자가 최초로 5만 명이 넘은 가운데, 일부 시민들의 자가검사키트 사재기까지 공공연하게 목격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날 기자가 서울 시내 10개 약국을 확인해 본 결과 6곳이 자가진단키트 품절 상태였다. 마포구 S약국 관계자는 "물량을 최대한 많이 발주해 50개까지 들어오는 날도 있는데, 오전 중으로 다 팔린다"며 "혹시 품절될까봐 미리 4~5개씩 사놓는 사람도 있다"고 밝혔다.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자가검사키트 수요가 몰려 가격이 1.5~2배까지 뛰고 있었다.
키트 품귀와 사재기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수급 불균형 대책을 강구 중이다. 보건복지부 류근혁 2차관은 지난 9일 "생산업체를 추가해 생산량을 늘리고 수출통제, 가격제한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처도 10일 자가검사기트의 온라인 판매 금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이르면 오는 13일부터 이런 방안이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