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은 “내년 기준금리, 물가안정에 중점...금융·외환시장 상황도 고려”


입력 2022.12.23 06:00 수정 2022.12.23 06:00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경제성장률 하향에도 물가 오름세

부동산 PF 대출 등 자금 불안 확대

서울 한 대형마트 농산물 코너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내년 기준금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며 내년에도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다만 금융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경제상황이 금리인상 폭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은은 23일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 보고서에서 “국내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고려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종 기준금리 수준과 유지기간 등은 물가 흐름과 함께 경기, 금융·외환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결정하겠다는 판단이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해 0.5%에서 3.25%까지 올렸다.


내년 중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 중반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나 국내외 경기 둔화폭, 주요국 통화정책,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누증된 비용 상승압력의 전가 정도 등과 관련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보았다. 이같은 이유로 최종 기준금리 상단 전망치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앞서 최근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설명회에서 이창용 총재는 “11월 데이터만 보면 3.5%가 적절하다는 판다”이라면서도 “경제상황이 바뀌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발언하며 여지를 남겼다. 지난달 24일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대다수의 금통위원들은 최종 금리 상단을 3.5%선으로 제시한 바 있다. 현재 기준금리가 3.25%임을 고려하면 내년 1월 한차례 0.25%p만 올리면 3.5%가 되는 것이다.

ⓒ 한국은행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둔화,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약화되는 가운데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근원물가(식료품 에너지제외) 상승률 전망치는 2%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공급요인 및 기저효과,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상승률이 낮아지겠지만 그간 누적된 전기・가스요금, 가공식품, 근원품목 등으로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변동, 원・달러 환율 움직임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폭,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높은 변동성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지속 전망, 부동산 관련 자금시장의 신용경계감 등을 고려할 때 자본유출입과 주요 가격변수의 높은 변동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염려했다.


이어 “부동산 경기 둔화폭이 예상보다 커질 경우 부동산 PF 대출 등 관련 자금시장 불안이 재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글로벌 달러화 유동성 축소 지속, 주요국 경기 둔화폭 확대에 따른 투자심리 회복 제약 등이 외환부문의 리스크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스템은 금융기관의 높은 자본비율 등을 고려할 때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지속하겠으나, 부동산 PF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큰 일부 비은행 금융기관의 경우 부동산 경기 위축이 심화되면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보았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