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응 수위 따라 '내로남불' 논란 처할 수 있어
송영길 조기 귀국 거부에도 사태 추이 보는 듯
"李 이미 다 얘기…宋 귀국해 입장 내라는 입장"
더불어민주당이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파문으로 휘청이고 있지만, 이재명 대표는 해당 의혹에 사과한 이래 침묵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대표 자신의 대한 '사법 리스크'는 검찰의 야당 정적 제거·야당 탄압으로 프레임을 구축해놓고, 해당 의혹에는 강경 대응할 경우 '내로남불' 논란에 처할 수 있다는 것 때문으로 보인다.
19일 검찰발(發) '사법 리스크'가 당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당내에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대형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감지된다. 이런 상황에서 연루자의 탈당·출당 요구, 당 지도부의 대응 방식에 대한 계파별 입장이 엇갈리면서 계파 갈등으로 번질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이 대표가 지난 17일 돈봉투 의혹에 대해 사과했지만, 당내에서는 그가 프랑스에 체류 중인 송영길 전 대표의 조기 귀국을 요청한 것 외에 사실상 적극적인 대응은 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송 전 대표가 오는 22일(현지시각) 기자간담회를 열겠다고 하면서, 당의 요청을 거부한 것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온다. 그럼에도 이 대표는 공식 사과 이후 이번 사태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실제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민생·외교 현안에 대해서만 목소리를 냈다. 그는 "전세사기는 수많은 국민에게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히는 사회적 재난"이라며 '선(先) 지원, 후(後) 구상권 청구'를 내용으로 하는 특별법을 조속히 추진해야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또 정부의 우크라이나 살상무기 대량 우회 지원 의혹과 관련해 "만일 이게 사실이면 국익과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며 "러시아의 보복은 물론 전시 비축 물자의 대량 방출로 수년 간 포병 전력에 큰 공백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정부가 국제 사회와 우리 국민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해명을 촉구했다.
박성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당 차원에서는 이 대표가 (17일에) 다 얘기했다고 본다"라며 "송 전 대표가 귀국해서 이 문제에 대해서 입장을 내라는 게 당 대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대신 이 대표를 제외한 당 지도부가 나서 송 전 대표의 귀국을 재차 종용하고 나섰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떳떳하다면 피할 이유도, 미룰 이유도 없다"며 "민주주의를 더 이상 후퇴시키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송갑석 최고위원도 "개인적 일탈행위로 나와 아무 관련 없다, 귀국해서 따로 할 말 없다'는 송 전 대표의 무책임한 태도 지켜보며 당원과 국민은 당혹감과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면서 "책임있는 자세로 직접 나서서 일말의 일구심도 남김없이 진실을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