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발사 공언했던 北
기술적 불확실성 현재진행형
발사체·위성체 모두 '불투명'
북한이 10월 중으로 군사정찰위성 3호기를 발사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뻥카'에 그쳤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 차례 딸을 대동해 위성 준비 실태를 점검하고, 위성 다각배치까지 거듭 주문했음에도 좀처럼 성과를 내지 못하는 모양새다.
정부 당국자는 31일 "오늘은 북한이 (위성) 3차 발사 시기를 공언했던 10월 마지막 날"이라면서도 "추가적으로 확인해드릴 만한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북한은 위성 2차 발사(8월 24일) 실패 이후, '엔진 결함은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히며 10월 발사를 공언한 바 있다. 당시 일각에선 "기술적 자신감의 표현"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지만, 예고 시점을 넘긴 만큼 허언에 불과했다는 평가다.
2단 엔진에 여전한 '물음표'
"北, 첨단 엔진 시험장 없어"
발사 연기 배경과 관련해 정치적 효과 극대화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기술적 불확실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을 거란 관측이다.
무엇보다 1차 발사(5월31일) 당시 결함이 확인된 2단 엔진의 정상 작동 여부를 북한 당국이 확신할 수 없을 것이란 평가다. 2단 엔진이 '진공 비행'을 감내해야 하는 만큼, 일반적인 지상설비로는 직접 모사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선진국들은 진공챔버를 갖춘 고가의 첨단 엔진 연소시험장을 따로 만든다"며 "북한은 그런 설비가 없다. (진공 비행을) 간접 모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결국 철저한 준비 없이 맨땅에 헤딩하듯 위성을 쏘아올릴 경우, 결함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명예연구위원은 "쉽게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며 "기술적 노력이 필요하고 경험적으로도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상 위성체 2개 제작
2번 연속 공중폭발한 北
3번째 위성체 보유 여부 주목
발사체 외에 위성체 역시, 발사 일정 지연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평가다. 통상 실패 가능성을 감안해 2개의 위성체를 제작하는 만큼, 3차 발사를 위해선 북한이 위성 추가 제작에 나서야 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이 명예연구위원은 "발사체의 경우, 김정은 질책에 따라 또 발사하겠다고 하면 할 수 있다"면서도 "위성체는 통상 2개를 만든다. 그런데 2개 다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는 "(위성체) 3개를 만들었다면 (빠른 시일 내 재발사가) 가능하겠지만, 2개만 만들었다면 새로운 것(위성)을 만들어 발사해야 한다"며 "쉽게, 빠르게 되겠느냐"라고 되물었다.
위성체에 들어가는 각종 장비·부품이 대북제재에 저촉되는 만큼, 북한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아울러 이 명예연구위원은 발사 지연이 "위성체 문제라면 그건 별도 문제"라며 "러시아가 (자국) 위성체를 줘도 북한 발사체와 안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러시아 기술에 기초해 발사체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러시아 위성체와의 호환 여부는 별개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결국 활용 가능한 위성체 보유 여부가 향후 발사 시점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러, '직접지원' 거리두되
기술자 협력 등 '우회지원' 가능성
10월 발사가 물 건너갔음에도 북한이 러시아 협력을 등에 업고 도발을 재개할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러시아 기술자들의 상황 점검 및 조언은 물론 △부품 지원 △진공챔버 연소시험장 이용 허가 등 '우회 지원'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다만 발사체 기술과 관련한 '직접 지원'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전용될 수 있어 러시아가 적극성을 띠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실제로 위성과 ICBM은 사실상 동일한 원리로 발사된다. 국제사회가 북한의 위성 발사를 ICBM 도발로 간주하는 이유다.
軍 "3차 도발 시기 예단 어려워"
군 당국은 북한 위성의 11월 발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예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하에 북한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속적으로 추적·감시하고 있다"면서도 "시기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