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임금 수준이 20년 만에 일본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한·일 임금 현황 추이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임금 총액은 399만8000원으로 일본의 38만5500엔(379만1000원)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임금 총액은 2002년 179만8000원으로 일본(38만5600엔, 약 385만4000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20년 만에 임금 총액이 역전됐다.
특히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2002년 67만6000원에서 2022년 145만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이는 2002~2022년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인상률(157.6%)이 중소기업 임금 인상률(111.4%)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일본의 경우 대기업 임금은 6.8% 감소했고, 중소기업 임금은 7% 인상되면서 임금 격차가 줄어들었다.
초과 근로·급여를 제외한 우리나라 월 근로 시간도 2002년부터 2022년까지 13.8% 줄었으나 월 임금 총액은 122.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시간당 임금은 2022년 9954원에서 2022년 2만5661원으로 157.8% 늘었다. 이 기간 우리나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시간당 임금 증가율 183.1%, 152.5%에 달했으나 일본 중소기업은 8.9% 늘었고, 대기업은 9.7% 줄었다.
경제성장률까지 고려한 임금인상률도 대기업은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우리나라 대기업의 시간당 임금 인상률(183.1%)은 1인당 명목 GDP 증가율(154.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본은 1인당 명목 GDP가 8.8% 증가했음에도 대기업 시간당 임금은 9.7% 감소했다.
2022년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할 때 중소기업 임금수준은 우리나라가 57.7로 일본의 73.7에 비해 낮아 우리나라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일본보다 컸다. 2022년만 해도 일본(64.2)이 우리나라(70.4)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