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세논란' 박 대통령 지지율 7주만에 '부정' 앞서
갤럽조사, 정부의 담뱃값과 주민세·자동차세 인상안 등 '서민증세' 논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수행 설문조사에서 7·30 재보선 이후 7주만에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의 9월 셋째주 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44%로 전주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47%로 전주보다 2%포인트 올랐고, 9%는 평가를 유보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소통 미흡'이 20%로 가장 많았고, 18%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수습이 미흡하다고 답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공약 실천 미흡과 공약변경', '세제개편 및 증세'에 대한 부정 평가가 높아졌다.
공약 관련은 지난 첫주 조사보다 3%에서 9%로 부정평가가 늘었고, 증세 관련은 0%에서 5%로 응답이 늘었다. 한국갤럽은 추석 이후 연달아 발표된 정부의 담뱃값과 주민세·자동차세 인상안 등이 '서민증세' 논란으로 이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 43%, 새정치민주연합 20%, 정의당 3%, 통합진보당 3%로 나타났다. 새누리당은 추석 전보다 1%p 하락했고, 새정치연합은 2%p 하락했다.
새정치연합의 지지도는 7·30 재보선 이후 20% 초반에 머물러오다가 3월 창당 이후 최저치에 해당되는 20%를 기록했다. 특히 '텃밭'인 광주와 호남권에서의 지지율이 지난 첫주 대비 13%p(43%→30%)라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갤럽은 세월호특별법 협상 무산과 박영선 원내대표의 탈당 논란이 불거진 새 비대위원장 선출 과정이 배경이라고 평가했다.
차기 대선 주자 지지도를 묻는 질문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이라는 답변이 22%로 가장 많았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의원(13%)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10%)는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안철수 새정치연합 의원(8%)과 정몽준 전 새누리당 의원(6%), 김문수 전 경기지사(5%), 오세훈 전 서울시장(4%), 안희정 충남도지사(3%)는 10% 아래의 지지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를 상대로 휴대전화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자 수는 1002명(응답률 1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