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태경 "국가안보실장, 한수원 사태 이해 못하는 듯"


입력 2014.12.26 10:20 수정 2014.12.26 10:26        조성완 기자

"해킹으로 얻는 정보 활용한 물리적 테러 있을 수도"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자료 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사이버테러 협박과 관련해 “국가안보실이 원전 안전에는 이상이 없다고 이야기를 했는데, 국가안보실장이 정확히 사태를 이해 못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날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출연해 “해킹으로 얻은 정보에 원전의 방호시설과 보안시설의 문제점에 대한 자체 평가 내용이 있는데, 그 정보를 활용해서 최악의 경우에는 테러리스트들이 직접 난입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이런 물리적 테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도 지금 정부가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안이하다”며 “물리적 테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같은 경우는 군대가 동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컨트롤타워가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인데, 산자부 장관이 아니라 군대 동원까지 연결시킬 수 있는 국가안보실장이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며 “이 부분도 정부가 잘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하나 더 생각해야 될 게 북한은 사이버테러리스트 수천명을 갖고 있는데, 그들은 역할을 분담해서 완전 전쟁을 하듯이 한다”며 “이런 식으로 끊임없이 공격해 들어오고 있는데, 우리 사이버테러 대비 태세는 그렇게 돼 있는가”라고 꼬집었다.

하 의원은 또 이번 사이버테러 협박의 진원지에 대해 “북한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심증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완전히 군사작전처럼 심리전을 하고 있다. 날짜를 못 막으면 다들 경계를 할 것인데, 공격하기 어려워지니까 혼란만 일으키기 위해서 한 것”이라며 “또 ‘아닌 보살’이라는 북한 사투리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특히 악성 이메일 발송에 활용된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가 중국 선양(瀋陽)인 점을 거론하며 “선양이 북한의 거점이고, 사이버테러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직원들의 이메일을 갖고 제목을 열어보기 쉽게 무슨 설계도 변경 사항 등으로 한 것이 여태까지 농협이나 기관들에 했던 전형적인 북한의 방식”이라면서 “해독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과거 사건에 대한 원천 자료가 많이 있기 때문에 (진원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