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나-외환 '통합 산통' 금융위 메스 들었다놨다


입력 2015.01.08 15:34 수정 2015.01.08 17:01        이충재 기자

무기계약직 정규직 전환 시기 등 세부조건 놓고 '노사 대립'

외환은행 노동조합과 경영진이 지난해 9월 24일 오후 긴급 노사협의회를 열고 논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외환은행

“양보할 일이 아닙니다.”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을 위한 산통이 해를 넘겨 계속되고 있다. 무기계약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 문제를 두고 노사 모두 “양보할 일이 아니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보다 못한 금융당국에서는 하나·외환은행이 통합 신청을 하면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통합의 물꼬를 열어뒀다. 하나금융지주가 노조와 합의 없이 통합 승인 신청을 하더라도 인가를 검토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에서 금융당국의 개입이 오히려 통합 논의를 가로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금융위원회는 8일 “통합과 관련해 인가절차는 확정된 바 없다”며 한발을 뺐다. 금융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노사 간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며 자연분만을 유도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통합의 산파역할을 해야할 금융당국이 당초 예상보다 진통이 길어지자 갈피를 못 잡고 메스를 들어다놨다하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 한 관계자는 “노사가 해를 지나도록 합의점을 못 찾으니 금융위가 성급해하고 있다”며 “현 상황은 분위기를 떠보는 식의 액션을 할 때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금융권에선 금융당국이 외환은행 노조의 요구사항이 ‘과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만큼, 노사합의 기한 선정 등의 가이드라인을 언급하는 형식으로 우회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외환은행 노조는 2000여 명의 무기계약직 직원 전원을 즉각 6급 정규직으로 전환해 달라고 요구 중인 반면 경영진은 통합 후 선별적으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에 하나금융지주는 통합 승인 신청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외환은행 노조와 합의를 매듭짓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을 추진하는 이른바 ‘선(先)통합 후(後)합의’를 하겠다는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노사협의의 진전이 없을 경우, 하나금융이 이달 중으로 금융당국에 하나-외환은행의 통합 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외환은행 노조 김근용 위원장은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근본적인 이유는 하나지주가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하나지주는 노동조합에 대한 왜곡된 흑색선전을 즉각 중단하고,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서라”고 말했다.

노조는 외환은행의 ‘무기계약직 정규직 6급 전환’이 지난 2013년 10월 합의된 사항으로 “사측과 협상이 아닌 사측이 이행만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하나금융은 오는 14일 이사회를 열고 29일 개최될 임시주주총회에 상정할 통합 안건을 의결할 계획이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