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나외환은행 통합, 수정안 놓고 '샅바싸움'


입력 2015.04.30 12:09 수정 2015.04.30 16:53        이충재 기자

하나금융-외환은행 노조 '2.17합의서' 수정안 두고 갈등

3개월 만에 재개된 하나·외환은행 통합 논의가 또 한번 진통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3개월 만에 재개된 하나‧외환은행 통합 논의가 또 한번 진통을 겪고 있다. 하나금융지주와 외환은행 노동조합이 ‘2.17합의서’ 수정안을 두고 기싸움을 벌이는 양상이다.

우선 노조는 “법원 결정 취지대로 2.17합의서를 존중하면서 상호 양보하자고 제안했던 것인데, 사측은 2.17합의서 폐기안을 들고 나왔다”며 “사측에 다시 수정합의서안을 서면으로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하나금융은 “기존 2.17합의서의 기본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합의서를 노조에 제시했다”며 “노조는 자신들이 요구한 양식대로 합의서가 제출되지 않은 것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기도 했으나 합의서는 수령했다”고 반박했다.

‘2.17합의서’는 2012년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을 인수할 당시 최소 5년간 외환은행의 독립경영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2월 법원은 합의서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면서 하나금융지주가 추진했던 조기통합 작업에 제동을 걸었다.

외환노조, 하나금융 첫 번째 수정안에 '퇴짜'

특히 노조는 ‘2.17합의서의 완전한 폐기’와 ‘즉각적인 조기통합추진’을 핵심 내용으로 한 사측의 합의서 초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등을 돌렸다.

앞서 노조는 지난 20일 사측에 ‘2.17합의서 수정안을 서면으로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고, 신구조문대비방식의 수정합의서안 양식을 송부했다. 노조는 사측이 전향적인 절충안을 마련해 올 경우 2.17합의서를 수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노조는 사측의 수정안을 거부했고, 하나금융 역시 노조측에 새로운 합의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향후 ‘초안’을 잡는 과정에서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금융권에선 노사가 수정안을 합의하는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었다. 노사는 향후 합의서에서 명시된 통합 시기를 ‘어떤 명분’으로 앞당기느냐를 두고 치열한 샅바싸움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사 모두 2.17합의서를 수정하지 않고서는 조기통합 논의 자체가 어렵다는데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수정안 합의를 도출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하나금융이 2.17합의서의 근본을 인정하는 데서 수정안을 논의해야 결론을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노조도 ‘양보는 없다’는 식으로 협상을 해선 아무것도 얻을 게 없다”고 지적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