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용 의원 작년 3분기, 올 2분기 신용카드 수수료율 비교
90개 신용등급 중 32개 구간서 인상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의 장기카드대출(카드론)과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등 대출상품의 수수료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신용카드사 대출상품 수수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와 올해 2분기 수수료율을 비교한 결과 전체 신용등급 90개 중 32개 구간(35.6%)의 수수료율이 인상됐다. 나머지 구간도 소폭 인하하거나 기존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카드사별로는 현대카드와 우리카드는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을 전체 신용등급에 걸쳐 인상했으며 삼성카드도 현금서비스 6∼10등급의 수수료율을 올렸다. 카드론도 현대카드는 1∼4등급과 7등급, 우리·신한카드는 5∼7등급의 수수료율이 올라 저신용자 위주로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카드와 KB국민카드도 각각 1∼5등급, 1∼3등급의 수수료율을 인상했다.
카드론 수수료율이 가장 많이 인상된 구간은 신한은행이 7등급에 대한 인상구간으로 2.72%였다.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은 현대카드 1~3등급의 인상폭(1.56%)이 가장 높았다.
신학용 의원은 "카드사 수수료율 인상이 대부분 저신용등급에 집중돼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상품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서민들을 상대로 수수료율 장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의 수수료율을 인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편, KB국민카드는 다음 달 연 6.50∼25.80%인 카드론 수수료율은 연 5.90∼24.80%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은 연 6.50∼27.40%에서 연 6.40∼27.00%로 인하하기로 했다.
롯데카드는 10일부터 카드론 최저 금리를 연 6.90%에서 6.50%로, 현금서비스 최저 금리를 7.50%에서 6.90%로 내릴 계획이다. 이 외 카드사들도 하반기 카드대출상품 금리 인하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