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만난 김무성·문재인, 전격 합의한 배경이...
"상당한 의견 접근 이뤘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안 정개특위서 강구키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8일 단독으로 회동하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의결한 ‘안심번호 도입’ 관련 공직선거법 개정을 합의 처리키로 했다. 아울러 오픈프라이머리와 함께 양당 간 ‘빅딜’ 가능성이 회자됐던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은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양당 대표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부산 롯데호텔에서 1시간 40분가량 만나 이같은 내용에 합의하는 한편 △안심번호를 활용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방안을 정개특위에서 강구하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선관위 주관으로 하되 일부 정당만 시행하개 될 경우 역선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법으로 규정하며 △예비후보 등록기간을 선거일 전 6개월로 연장하고 △예비경선 홍보물을 전 세대로 확대하는 데 뜻을 모았다.
이와 관련 문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공천제와 관련해 양당 대표간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호평한 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선관위 주관으로 하되 일부 정당만 시행하게 될 경우, 역선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법으로 규정하기로 했다"며 “신인, 여성, 청년, 장애인 등을 위한 가산점 부과를 위한 근거를 법에 두고 불복에 대한 규제도 법으로 규정키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이어 "신인들을 위해 예비후보 등록기간을 선거일 전 6개월로 연장하고 예비경선 홍보물 대상을 모든 세대로 확대하기로 했다"며 "선거연령이나 투표시간 연장, 투·개표의 신뢰성 확보,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와 지역주의 정치구도 완화 방안에 대해서는 더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만 선거구 재획정 및 비례대표 확대 문제에 대해선 양측 간 이견이 팽팽해 접점을 찾지 못했다.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문제를 10월 13일까지 결정해야 하는데, 나는 지금까지 주장해왔던대로 지역구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자고 주장한 반면, 문 대표는 비례대표를 줄일 수 없다고 해 진전이 없었다"고 말했고, 문 대표는 "그 문제(선거구획정)도 권역별 비례대표와 연계해서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동은 김 대표가 먼저 대표 회담을 제안, 문 대표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추진됐으며, 측근들조차 회동 사실을 모르는 상황에서 갑작스레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당초 배석자 없이 약 1시간 20분 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회동 직후 양당 대표가 자필로 합의문을 작성하고 문구를 서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20분가량 연장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