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철강업, 조직개편 러시... 미 ·중 ·인도 '보호무역주의' 대응


입력 2016.08.23 14:59 수정 2016.08.23 15:04        이광영 기자

현대제철 통상대응 조직, 팀체제→실체제 격상

포스코, 통상대응 강화 및 조직개편 초읽기

철강업계가 날로 강화되고 있는 미국, 중국, 인도 등의 보호무역주의에 맞서 최근 조직의 양적·질적 개편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3사 로고.ⓒ각사 홈페이지

철강업계가 날로 강화되고 있는 미국, 중국, 인도 등의 보호무역주의에 맞서 최근 조직의 양적·질적 개편에 나서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 17일 영업본부 내 통상전략실을 신설해 경영관리실장을 역임했던 김경석 이사를 실장으로 발령냈다. 통상대응 조직이 기존 팀체제에서 실체제로 역할이 격상된 것은 물론 조직의 규모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통상전략실 산하에는 통상 1~3팀을 뒀다. 기존 통상기획팀과 통상대응팀의 업무를 보다 세분화한 것이다.

현대제철에 따르면 1~2팀은 통상기획팀 업무를 분담한다. 기존 인원 12명이었던 통상기획팀 업무는 1팀에서 11명, 2팀 7명이 맡게 돼 그동안 업무 과중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3팀은 기존 통상대응팀 업무를 승계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에서 튀어나온 관세 유탄을 잇달아 얻어맞고 있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세분화한 것”이라며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통상문제를 철저히 준비해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이 가장 먼저 조직개편에 나선 가운데 포스코 역시 통상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 카드를 꺼내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포스코는 2013년 철강사업본부 내 철강사업전략실에 무역통상그룹을 신설한 바 있다. 기존 해외마케팅실 내 조직을 확대·강화해 현재 20명가량 직원들이 통상문제와 관련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올해 들어 포스코가 ‘관세폭탄’을 직격으로 맞으면서 조직에 긴장감이 흐르기 시작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5일 포스코 열연강판 제품에 반덤핑 관세율 3.89%, 상계관세율 57.04%를 적용했다. 중국도 지난달 23일 향후 5년 간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GOES) 제품에 37.3%의 반덤핑 관세를 물리기로 결정했다.

인도 역시 포스코 열연강판 제품에 45~55%의 관세율을 부과하는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렸다. 예비판정에서 부과된 관세율이 그대로 적용될 경우 포스코가 입을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제철과 마찬가지로 포스코도 조만간 통상대응 조직을 양적·질적으로 강화해 개편할 것으로 알려졌다”고 언급했다. 이는 그동안 미국 측의 반덤핑 조사과정에서 포스코가 AFA(Adverse Facts Available) 판정 기법을 적용받는 등 결과적으로 아쉬움이 컸다는 판단 하에 내린 결정으로 풀이되고 있다.

포스코는 최근 미국의 열연강판 반덤핑 관세조치에 미국 무역법원 항소 및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설령 포스코가 승소한다고 해도 판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단기간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동국제강은 타사 대비 양호한 관세율로 오히려 수출에서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동국제강 전략실 국제통상팀 소속 5명의 직원들은 큰 변화 없이 각국의 통상 관련 업무에 기존대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