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확하고 오해 소지의 발언들…매우 유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전 이사회 의장(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출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부정확하고 오해 소지의 발언들…매우 유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전 이사회 의장(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이 지난달 31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구글의 불공정행위를 비판한 가운데 구글이 이에 대한 반박 입장을 내놨다.
구글 코리아는 2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이해진 네이버 전 의장의 여러 발언은 주무부처 및 구글의 신뢰도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부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들에 대해 구글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해진 전 의장은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구글은 한국에서 어마어마하게 돈을 버는데 트래픽 비용도 안 내고 세금도 안 내고 고용도 안 한다"며 국내외IT 기업간의 규제 역차별 실태를 호소한 바 있다.
구글은 자사가 국내에서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발언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며 “구글은 한국에서 세금을 납부하고 있으며 국내 세법과 조세조약을 준수하고 있다”고 못 박았다.
이어 ‘고용도 안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현재 구글 코리아에는 수백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국내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한국의 고용 증대에 기여한 점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투명성 지적에 대해서도 강하게 부정했다. 앞서 이 전 의장은 네이버의 불법·부정 광고 등 검색 광고 문제에 관한 지적이 나오자 "국내에서는 구글의 검색 점유율이 낮아 구글코리아가 상대적으로 깨끗해 보일 뿐"이라며 "구글이 검색 점유율 1위인 국가에서는 구글과 관련해 그런 문제가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글은 “자사는 검색 결과의 객관성에 대해 상당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며 “구글 검색 결과는 100% 알고리즘 순위에 기반하고 있으며, 금전적 또는 정치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