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2일 정례회의 통해 매각여건 관련 검토 및 논의
자금 온전한 회수 위해 주가 상승 기다려야…당국 고심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을 통한 공적자금 회수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당초 상반기로 예정됐던 우리금융지주 '완전 민영화' 첫 일정이 코로나19 등에 따른 주가 변동폭 확대와 함께 올 하반기 이후로 지연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을 주관하고 있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오는 22일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매각여건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국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는 잔여지분에 대한 당장 구체적인 매각방안보다는 방향을 설정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외환위기 당시 혈세 13조원을 투입해 살려낸 우리금융지분 17.25%를 매각해야 하는 상황. 작년 6월 공자위가 발표한 우리금융 매각 로드맵에 따르면 2022년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지분 전량을 정리하는 방안이 담겨 있다. 당장 올해 2분기부터 순차적으로 2~3회에 걸쳐 최대 10%씩 나눠 지분을 매각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당시 금융당국은 “잔여지분을 언제 팔지 모르는 시장 불확실성과 완전민영화가 지연될 수 있다는 불필요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예보의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로드맵을 발표한다”며 매각 시기 및 방식 공표 배경을 설명했다. 당시 주가 금융위기 정도의 시장 급변이 아닌 한 주가에 연연하지 않고 일정대로 진행하겠다며 적극적인 매각 추진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공자위는 해당 로드맵에 따라 올 상반기 중 우리금융 지분 일부 매각에 착수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예상치 못한 글로벌 악재에 발목을 잡혔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해 국내외 주가가 급락한 것. 1년 전 주당 1만4500원에 거래되던 우리금융 주가는 최근 1만원대 회복이 힘겨운 모양새다. 실제로 지난 12일 기준 우리금융 주가는 9200원선에 머물렀다.
지분을 제값에 매각해야 하는 당국 입장에서는 고심이 깊다. 투입한 공적자금을 100% 손해없이 회수하기 위해서는 주당 1만3000원선에 팔아야 한다. 그간 정부 지분 보유분에 대한 배당액과 앞으로 있을 배당 등을 고려하더라도 최소 1만2300원선을 넘어야 한다. 그러나 주가 부진으로 매각 작업이 당초 예정보다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최근 이에 대한 고민을 공개적으로 피력하기도 했다. 은 위원장은 지난 주 열린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시도를)상반기에 하느냐, 아니면 국민 세금을 최대한 환수하는 것이 맞느냐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서 "이번 공자위에서 이에 대한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완전 민영화'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우려되는 대목으로 꼽힌다. 우리금융 입장에서도 지분 매각이 지연될수록 당초 세웠던 사업 계획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우리금융은 그동안 완전 민영화를 염두해두고 비은행 강화 등 외연 확장에 적극 나서왔으나 이 역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 입장에서는 하루빨리 완전 민영화의 길로 나아가야 경영 자율성과 기업가치를 높이는데 탄력을 받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정부가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금융 주가가 원금 회수 기준을 어느 정도까지 충족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