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상속인이 찾아가지 않은 개인연금을 직접 찾아주는 행정에 나선다.
금감원은 21일 개인연금과 관련해 상속인이 미수령한 연금을 직접 찾아주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개인연금은 가입자가 연금을 다 받지 못한 상태로 사망하면 나머지는 상속되지만, 연금의 성격상 가입자 본인만 수령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상속인들이 잔여 연금을 수령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 금감원은 지난해 2월부터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서비스'를 개선해 사망자의 개인연금 가입 여부 및 수령할 연금액 등의 상세정보를 제공해왔지만, 정보 부족으로 찾아가지 못한 개인연금이 매년 평균 약 2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조회 서비스 개선 이전 금감원에 접수된 상속인 정보 37만건(2017년 1월 1일~2019년 1월 31일·2017년 이전 건은 파기)을 대상으로 연금 미수령을 직접 확인해 상속자에게 알려줄 예정이다.
금감원은 상속인에게 찾아가도록 안내할 개인연금 규모가 약 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은 보험협회를 통해 보험 가입 정보를 확인한 뒤 아직 찾아가지 않은 개인연금이 있을 경우 오는 9월 중 상속인이나 대리인에게 우편 안내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사기 예방을 위해 우편으로만 안내할 예정"이라며 "보다 많은 상속인이 잠자는 개인연금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