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상황 점검회의’ 개최
한국은행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서도 미 연준의 정책금리 긴축의 폭과 속도에 대한 기대변화, 달러·엔·위안화 등 주요국 통화의 움직임,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 등에 따라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상황 변화에 따른 단계별 비상계획을 점검해 필요시 시자안정화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예고했다.
한은은 22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관련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승헌 부총재는 이날 회의에서 “이번 FOMC 회의에서의 정책금리 75bp 인상(3.00~3.25%)은 시장 예상에 부합했으나 향후 금리전망 및 파월 의장 발언 등이 hawkish(매파적)한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했다.
당분간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서 큰 폭의 정책금리 추가 인상이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글로벌 금융시장이 계속 높은 변동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 부총재는“점도표상 정책금리 전망 수준(중간값 기준)이 금년말 4.4%, 내년말 4.6%로 큰 폭 상향 조정된 가운데 파월 의장이 정책금리를 제약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인플레이션이 의미있게 하락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당분간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서 큰 폭의 정책금리 추가 인상이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글로벌 금융시장이 계속 높은 변동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며 “앞으로도 금융·외환시장의 상황 변화에 따른 단계별 비상계획을 철저히 점검하는 한편, 금융·외환시장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정부와 긴밀히 공유·협력하고, 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경우 적시에 시장안정화 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