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中 ‘흑연’ 수출통제에 배터리 업계 ‘촉각’


입력 2023.10.23 14:39 수정 2023.10.23 14:40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배터리 핵심 소재 ‘흑연’, 中 수입 비중 93.7%

수출 금지 아닌 허가 절차…수급 리스크는 有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에서 음극재가 제조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중국이 흑연 일부 품목에 대해 수출통제를 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이 미국의 견제에 반격에 나선 와중에 배터리 핵심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배터리 업체들까지 휘말릴 형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업계는 중국에 흑연 90% 이상을 의존하고 있어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0일 일부 흑연 제품에 대해 오는 12월부터 수출허가를 의무화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고순도, 고경도, 고강도의 인조흑연재료, 천연박편흑연과 그 성분을 포함한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은 수출허가 신청을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흑연은 배터리 핵심소재인 음극재의 필수광물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배터리 음극재용 인조흑연, 천연흑연을 지난해 기준 중국에서만 93.7% 수입했다.


이번 수출통제로 직접적 영향을 받는 업체는 포스코퓨처엠이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하게 흑연을 이용한 배터리 음극재를 대량으로 생산해 국내 배터리 3사에 공급한다.


이번 규제에 따른 영향에 대해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수출금지가 아닌 수출통제로, 수출 심사가 현재보다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배터리 업계를 보자면 인조흑연 음극재가 이미 수출통제 품목으로 현재 심사를 거쳐 기존 절차보다 약 2~3주 정도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흑연도 절차는 복잡해지겠지만 조달이 불가한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극재에 쓰이는 흑연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으로 나눌 수 있다. 인조흑연은 천연흑연보다 비싸지만, 전기차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고 충전속도를 줄이는 강점이 있다. 천연흑연은 좀 더 저렴하고 고용량이다. 각 장단점이 있어서 통상적으로 단일 소재보다는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을 혼합해 사용한다.


그동안 포스코퓨처엠은 천연흑연을 주소재로 음극재를 생산했으나 지난해 국내 최초로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퓨처엠은 2600억원 규모를 투자해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공장을 완공했다. 신축 공장은 연 8000t 규모를 생산할 수 있으며 앞으로 1만8000t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로써 인조흑연은 문제가 없어졌지만, 천연흑연 재고 확보에는 더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천연흑연은)현재 적정 재고를 보유 중으로 당장 공장 가동에 차질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규제가 시작되는)12월1일부터 상황을 주시하며 적정 재고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포스코그룹은 탄자니아 등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천연흑연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제 (인조흑연을) 본격적인 생산 준비하고 있다”며 “인조흑연은 자회사를 통해 원료 자체를 공급할 수 있어서 중국에서 수출통제를 해도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천연흑연 음극재. ⓒ포스코퓨처엠 홈페이지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제조사까지 즉각 대처할 만큼 상황이 진행되지 않았지만, 예의주시하는 단계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포스코퓨처엠 외에도 중국에서 음극재 구입하는 비중이 높아 수급 리스크는 염두에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배터리 3사, 음극재 업체 모두 중국 비중이 큰 가운데 중국이 수출 신고 품목의 범위를 넓혔다”면서도 “인조흑연은 이미 대상이었는데 지금까지 문제 없었다”고 말했다. 현재도 선례를 비춰보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언제든 중국 정부가 추가 규제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은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정부가 흑연 수출통제를 발표한 날 바로 국내 공급망 영향 점검에 나섰다. 업계 관계자들은 수출금지가 아닌 수출허가 절차라 지속 주시할 필요성은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허가절차로 수입기간이 늘어날 수 있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생산 차질을 겪지 않도록 중국과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태 한국배터리협회 실장은 “이제 정식 승인 절차가 추가돼 허가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수출금지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업계가 지금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정부와 함께 공동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흑연 수출통제로 국내 배터리 제조사의 수출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공급망 확보 문제가 생기면 배터리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배터리 수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시각이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더 나와봐야 알겠지만,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경우에 중국으로부터 원자재 확보가 상당히 제한을 받을 것으로 보여 수급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며 “확보가 어려워지면 원자재 수입단가가 올라가고 올라간 단가는 배터리 가격에 반영돼 수출하는데도 상당히 수요가 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