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 "환영" 이북도민, 이번엔 "반대" 왜?


입력 2015.02.02 08:34 수정 2015.02.02 08:46        목용재 기자

"1회성 정치적 이벤트는 가족들에게 의미 없어"

북 정권 생색내기 반기 "서신교류만 허용해도..."

지난해 초 진행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당시 금강산면회소 앞에서 남측 가족들이 작별상봉을 마치고 버스에 탄 북측 가족의 손을 잡으며 작별인사를 나누고 있다.(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주요 일간지에 “이산가족 상봉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광고를 냈던 이북도민회중앙연합회가 29일자 한 조간에는 “이산가족 상봉을 반대한다”는 상반된 내용의 광고를 내걸었다.

실향민들의 단체인 이북도민회 측은 지난해 이산가족상봉이 현실화 되면서 몇몇 일간지 광고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환영한다. 기본적으로 생사학인과 서신교환 등이 있어야 하고 일회성 만남은 지양해야 한다”는 취지의 광고를 낸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산가족 상봉 반대”라는 문구를 명시한 광고를 내걸었다.

29일 이북도민회 측은 한 언론사 신문 광고를 통해 “8백만 이북도민은 정치적 이산가족 상봉을 반대한다”면서 “북한 당국의 5.24조치 해제 조건 등 흥정하는 작태에 분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북도민회는 “800백만 이북도민들은 고작 100명 만나는 이벤트성 상봉마저 정치적 조건을 달아 흥정하는 북한의 작태에 분노를 감출 수 없다”면서 “(북한은) 5.24해제 뿐만 아니라 서해5도와 NLL에 대한 포기 선언 등을 (이산가족 상봉)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도 남을 것”라고 덧붙였다.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더 이상 정치적 목적에 의해 끌려 다녀서는 안 되고, 더 이상 북한의 대남 전술에 말려들어서도 안 된다”는 정부에 보내는 메시지였다.

이와 관련 김동윤 이북도민회중앙연합회 부장은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우리는 실향민 단체로서 이산가족 상봉의 당사자다. 이산가족 상봉을 우리 정부에서 먼저 제안한 이후 북한에서 나온 답변은 5.24조치 해제라는 조건부 상봉이었다”면서 “상봉도 중요하지만 북한의 사과 한마디 없이 5.24조치를 해제하고 상봉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고 밝혔다.

김 부장은 “실향민 입장에서는 5.24조치를 해제하는 등의 조건부로 상봉을 한다는 것 자체가 부담이다. 우리정부가 애걸복걸하며 이산가족 상봉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면서 “특히 100여명밖에 만나지 못하는 1회성 정치 이벤트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는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이북도민회가 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전제조건 없는 ‘상시 이산가족 상봉’, 상설면회소 설치다. 이마저도 어렵다면 적어도 이산가족간의 생사확인, 생사확인 된 이산가족 간 서신 교류는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부장은 “북한이 이산가족상봉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며 생색내고, 또 챙길 것만 챙기려는 행동을 보여왔다”면서 “이산가족들에게 상봉만큼 중요한 것은 없지만 지속적인 만남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산가족들도 1회성 만남은 원하지 않는다. 북에 있는 가족을 만났다고 해도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허탈감에 이산가족 상봉 직후 바로 세상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이산가족 상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이산가족 간 생사확인과 서신 교류만 허용해줘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