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검찰, 포스코건설·경남기업 수뇌부 집중 수사


입력 2015.03.22 11:53 수정 2015.03.22 12:04        박민 기자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 이번 주 소환조사 가능성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빌딩.ⓒ포스코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한 포스코건설과 경남기업의 검찰 수사가 기업 경영 수뇌부를 정조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르면 이번주부터 비리 의혹의 정점에 선 인물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그간 포스코건설이 지난 2009년~2012년 베트남 고속도로 건설 사업 과정에서 하청업체 지급 대금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마련된 100억원대의 비자금이 회사 측 주장대로 발주처 리베이트로만 쓰였는지 아니면 다른 경로를 통해 나갔는지 조사했다.

특히 이 중 상당 금액이 리베이트와 무관해 보이는 경로로 흘러간 단서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검찰은 포스코건설의 박 모 전 상무를 비자금 조성에 깊게 관여한 인물로 지목, ‘참고인’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돌려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향후 수사는 박 전 상무의 윗선으로 옮겨갈 예정이다. 현지 사업비 처리를 결정하는 과정에 관여한 포스코건설 임원들이 잇따라 조사실로 불려올 전망이다. 베트남 사업을 총괄한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도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비자금이 '국내용'으로 사용됐을 만한 정황을 담은 여러 증거자료 등을 제시하면서 문제의 돈이 정확히 어디에 쓰였고, 정준양 전 회장 등 그룹 최고위 인사들이 얼마나 관여했는지를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한 지난 18일 경남기업 및 석유공사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시작된 자원외교 의혹 수사는 일단 나랏돈을 유용한 정황이 포착된 경남기업 측의 혐의를 구체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남기업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러시아 캄차카 석유개발 탐사 사업 등 8건의 해외 자원개발 사업과 관련해 정부 예산으로 성공불융자 330억원을 빌렸는데, 검찰은 이 중 100억원대의 돈이 원래 목적대로 사용되지 않은 단서를 잡았다.

만약 나랏돈이 목적대로 사용됐다면 캐시콜이 있을 때마다 경남기업은 지분율 만큼의 돈을 보내야 하는게 맞지만 이 과정에서 누락이 발생했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캐시콜은 해외 자원개발 사업 운영권자는 사업비가 소요되는 대로 지분 참여자들에게 돈을 송금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검찰은 경남기업이 성완종 회장이 책임을 회피하지 못할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조만간 소환을 통보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박민 기자 (mypark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