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카쿠 열도' 美 방위 재확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전화회담을 통해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 필요성에 공감했다.
28일 로이터통신과 NHK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이날 오전 1시께부터 약 30분간 전화회담을 진행했다.
일본 내각홍보실은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이날 오전 회담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취임을 축하하고 일미(미일)동맹을 한층 더 강화하기로 (의견) 일치를 봤다"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에도 (의견) 일치를 봤다"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이어 미일안보조약 적용 대상에 일본·중국 간 영유권 분쟁지역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포함된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미일안보조약은 미국의 일본 방위 의무를 규정한 조약이다.
백악관 역시 성명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핵우산에 대해 언급하며 일본에 확장 억지력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해당 성명에는 양국 정상이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내용도 담겼다.
양국 정상은 미국·일본·호주·인도의 대중압박 협의체인 '쿼드(Quad)' 협력 증진과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북한 비핵화 협력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교도통신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 관련 협의도 진행됐지만, 일본 정부 관계자가 '상세한 내용 설명은 삼가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양국 정상의 전회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이뤄진 통화까지 포함하면 이번이 두 번째다. 스가 총리는 "지난번 이상으로 제대로, 또 실질적인 대화가 이뤄졌다고 생각한다"며 "바이든 대통령과의 개인적인 관계도 심화하면서 일미 동맹 강화를 향해 제대로 대응하고 싶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NHK는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가 전화회담에서 서로를 '요시' '조'라고 부르게 됐다고 전했다. 양국 정상이 서로의 이름을 부르며 친분을 쌓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스가 총리는 △파리 기후협정 복귀 △세계보건기구(WHO) 복귀 △개발도상국에 대한 백신 공급을 목표로 하는 코백스(COVAX) 프로젝트 참가 등 바이든 대통령의 대외 노선에 대한 환영의 뜻도 표했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4월 22일 온라인 형식으로 진행되는 기후 정상회의 참가를 요청했으며 스가 총리는 '여러 사정이 허락하면 참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싶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스가 총리는 이번 전화회담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두된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취소론과 관련한 대화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방미 시점에 대해선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