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임박해 경선룰 논란, 안 좋아보여"
용산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재차 강조
6·3 조기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최근 확정된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선 경선룰 확정 과정을 '샅바싸움'에 빗대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같은 결과에 경선 참여를 거부한 대권주자 김두관 전 의원의 결정에 대해서도 "이해가 된다"고 말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15일 KBS라디오 '전격시사'에서 "(대선에) 임박해서 경선룰을 놓고 서로 힘겨루기 하고, 샅바 싸움하고, 이게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며 "그게 제일 아쉬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전날 당내 경선룰을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 50%를 동반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채택했다. 그러자 비명(비이재명)계 대권주자들은 '이재명 한 사람만을 위한 경선룰'이라며 반발했고, 김 전 의원은 급기야 당내 경선 거부를 선언했다.
이와 관련, 김 전 지사는 "민주당의 기본적인 룰은 공직 후보 선출을 하기 위해 총선이든, 대선이든 1년 전에 룰을 확정하게 돼 있다"며 "경기 규칙이 미리 정해져야 규칙에 따라 선수들이 준비를 할 것 아니냐. 유럽 선진 정당은 대부분 이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내 경선 거부를 공식 선언한 김 전 의원에 대해서도 "안타깝다. 충분히 이해한다"며 "경선 규칙이 미리 정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이유다. 그래야 이런 일이 생기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전날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해 나눈 대화도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문 전 대통령이 내가) 출마 선언 때 어떤 내용을 말했는지 다 봤더라"며 "다음 정권에서는 균형 발전 시대를 열었으면 좋겠다는 당부를 했다"고 했다.
'용산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에 대해서도 거듭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가서 안 되는 이유는 국가 안보 차원에서 대통령실로 부적절하기 때문"이라며 "대통령과 합참의장 등 전시 핵심 지휘부가 한 곳에 모여서 근무하는 나라는 없다. 단 하루도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한국의 위기를 타개할 적임자라며 "(나는) 국정, 입법, 행정 등 경험을 두루 갖춘 유일한 후보"라며 "압도적 정권 교체가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