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정기보수, 코로나19 변수에도 무재해 기록 7년 넘겨
현대오일뱅크는 정유사 최초로 ‘무재해 2000만 인시’를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인시’란 공장 운전원들의 근무시간을 누적 합산한 개념이다. 한 명이 한 시간 동안 근무한 것을 ‘1인시’로 계산한다. '무재해 인시'는 정유 공장이 얼마나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가늠자다.
2013년 10월부터 시작한 현대오일뱅크의 무재해 지속 기간은 7년이 넘어간다. 2017년 9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무재해 1000만 인시를 달성한 이후에도 2000만 인시까지 무재해 신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는 2분기 역대 최대 정기보수를 시행했고 2조7000억 원 규모 올레핀 생산 공장 건설도 한창인 가운데 무재해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현장 작업자들은 작업에 앞서 TBM(Tool Box Meeting)을 실시, 그날의 안전 관련 사항을 다시 한번 환기한다. 또 공장의 모든 회의는 5분 가량의 ‘안전 한마디’로 시작한다.
스텝 조직도 예외는 없다. ‘안전 한마디’는 국내외 제조업 사고 사례를 살펴보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공유하는 시간이다. 화재, 폭발, 가스 누출, 해양오염 등 상황 별 종합비상대응훈련도 월 1회 실시한다.
다양한 교육과 제도, 사내 홍보를 통해 안전 인식을 강화해 온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적극적인 스마트 기술도 도입해 공장의 안전 수준을 한 차원 높여가고 있다.
2018년 구축한 설비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여의도 1.5배 크기 대산공장 곳곳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상징후를 신속히 전파한다.
올해 정기보수 기간에는 내부 유해가스를 감지해 통합관제센터에 즉시 자동 보고하는 시스템을 주요 밀폐 공간에 설치했다. 60m 이상 고소 지역 화재 진압을 위해 최첨단 굴절 소방차도 보유하고 있다.
강달호 현대오일뱅크 대표는 “정유 공장의 사고는 대규모 인적∙물적∙환경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에 안전과 환경이 최우선 고려 사항”이라며 “대형 올레핀 생산 공장의 내년 완공을 앞두고 있는 만큼 안전을 위한 시스템과 문화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