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소포, C2C·C2B 등 일반택배서 최고 점수
합동물류, B2B 기업택배서 높은 평가 받아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택배·소포 서비스 평가 결과 우체국 소포가 일반 택배 주에서 최고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가 택배서비스사업자 총 19개 업체 및 우체국 소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택배·소포 서비스평가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해당 평가는 종사자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와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2014년부터 매년 실시돼왔다.
일반 국민이 주로 이용하는 일반택배 업체 14개(C2C, 개인→개인/B2C, 기업→개인)와 기업이 이용하는 기업택배 업체 10개(B2B, 기업→기업)로 구분해 한국능률협회플러스가 평가 자료 수집, 전문 평가단 및 고객사 대상 설문조사 등을 진행했다.
평가 항목을 소비자 측면과 종사자 측면으로 구분해 소비자 측면에서는 친절성, 신속성, 화물에 대한 사고율을 측정하는 안전성, 물류취약지역 배송 품질 등을 평가했고, 종사자 측면에서는 사업자의 종사자 보호 노력, 처우 만족도 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 일반 택배 중 C2C 부문은 우체국 소포가 최고점을 받았고, 롯데, CJ, 로젠, 한진 순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B2C 부문에서도 우체국 소포가 최고점을 받았으며 로젠, 한진, CJ, 롯데, SLX, 쿠팡CLS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 택배(B2B) 분야에서는 합동물류가 최고점을 받았으며 경동물류, 성화기업택배, 용마로지스 등의 순서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평가 항목별로는 배송의 신속성(일반 93.5점, 기업 92.8점), 화물 사고율 등 안정성(일반 96.6점, 기업 98.1점)에서 평균 점수가 높았다.
반면 고객 요구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적극 지원성(일반 74.9, 기업 86.2점), 피해처리기간 등을 평가하는 대으성(일반 75점, 기업 82.2점) 등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또 종사자 만족도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평가(일반 73.7점, 기업 71.7점)돼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일반택배 분야에서 올해부터 새롭게 평가한 물류취약지역의 배송품질 항목은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는 상위 6개 업체인 우체국, 로젠, 한진, 롯데, CJ, 쿠팡CLS 등과 그 외 택배사 간 격차가 있었다.
상위 6개사의 평균점수는 B2C 기준 93.75점이었으나, 그 외 택배사 평균 점수는 70.5점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평가 결과를 택배 업계와 공유하고 올해부터는 업체별로 개선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