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포항·우이도항·능양항, 내년부터 시범사업 추진
노후 국가어항관리, 스마트 유지관리체계 구축
해양수산부가 노후화된 국가어항 시설을 선제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내년에 국가어항 중 현포항·우이도항·능양항 3곳에 스마트 어항 유지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28일 밝혔다.
현재 전국에 있는 국가어항 113곳(육지지역 79곳·도서지역 34곳) 중 도서지역 국가어항은 20년 이상 된 방파제·소형선·부두 등 노후시설 비율이 37.5%에 이르고, 입·출도에만 2일이 소요되는 등 접근성이 떨어져 체계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어항 내 실족, 차량 추락 등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해수부는 내년부터 ‘스마트 어항 유지관리체계 구축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한국판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기술(ICT)·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기반 기술을 활용해 어항 노후시설의 변형과 파손 등을 원격으로 점검, 선제적으로 시설물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체계를 도입하는 사업이다.
먼저 해수부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현포항(경북 울릉군), 우이도항(전남 신안군), 능양항(경남 통영시)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범사업 대상지는 동·서·남해 권역별로 배분하되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원거리에 위치해 관리가 어려웠던 도서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대상지로 선정된 3곳에 대해서는 내년 초 스마트 어항 유지관리체계 구축 설계에 착수하고, 방파제·소형선 부두 등 위험지역에 이용자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CCTV를 설치해 안전정보 등을 수집할 예정이다.
또 2022년에는 노후시설에 광학장비(LiDAR)와 계측센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상태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유지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2023년부터 장비 가동, 모니터링 등 스마트 유지관리를 본격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시범사업 실시 결과를 토대로 사업의 효과와 보완점 등을 파악해 향후 사업을 안전사고와 태풍피해에 취약한 국가어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성열산 해수부 어촌어항과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멀리 떨어진 국가어항 안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도 신속하게 예방·대응하고, 선제적으로 시설물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